트리

- 나무의 형태를 뒤집은 것과 같은 형태의 자료 구조

- 길이란 출발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 거쳐야 하는 가짓수를 의미

- 깊이란 루트 노드에서 특정 노드까지의 길이를 의미

- 트리의 높이란 루트 노드에서 가장 깊은 노드까지의 길이

 

이진 트리

- 최대 2개의 자식을 가질 수 있는 트리

 

포화 이진 트리

- 리프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가 두 자식을 가지고 있는 트리

 

완전 이진 트리

- 모든 노드들이 왼쪽 자식부터 차근차근 채워진 노드

 

높이 균형 트리

- 왼쪽 자식 트리와 오른쪽 자식 트리의 높이가 1 이상 차이 나지 않는 트리

 

 

- 이진 트리는 많은 양의 노드를 낮은 높이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데이터 활용의 효율성이 높아짐

- 데이터 저장, 탐색 등의 다양한 목적에서 사용할 수 있음

'자료구조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우선순위 큐  (0) 2020.12.17
이진 트리의 구현 및 순회  (0) 2020.12.17
기수 정렬  (0) 2020.12.17
계수 정렬  (0) 2020.12.17
퀵 정렬  (0) 2020.12.11
Posted by khon98
,