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램상에서 의미가 변하지 않는 값을 상수라고 부른다
숫자 상수
코드를 작성할 때 숫자를 사용하는 것을 숫자 상수라고 부른다
코드에 숫자를 적어 넣으면 일단 메모리에 값을 기억시키고 CPU가 그 값을 가져와 사용하게 된다
숫자 상수는 메모리에 기억된 값을 절대 변경할 수 없다
숫자 상수는 일정한 크기에 기억공간에 기억되는 값이므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
문자 상수
" " 안에 묶여있는 문자열을 말한다
Java에서는 " " 안에 묶은 문자열 값을 문자 코드 체계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넣었다가 CPU가 사용할 때 문자열 값을 가져와서 사용한다
Java에서는 " " 안에 적힌 문자열을 객체라는 단위로 사용을 한다
출력 서식을 가진 출력문
System.out.printf
Java5부터 새로 추가된 출력문으로써 출력 서식을 가지고 출력할 수 있는 출력문이다
사용 가능한 서식
%d : 정수 값
%c : 문자
%f : 실수형
%s : 문자열
%숫자d : "숫자" 만큼의 공간을 확보하고 빈칸은 빈칸으로 출력한다
%0숫자d : "숫자" 만큼 공간을 확보하고 빈칸을 0으로 채워서 출력한다
서식이 맞지 않게 입력 시 오류 발생
'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표준입출력 (0) | 2020.05.16 |
---|---|
변수와 자료형 (0) | 2020.05.14 |
자바의 식별자, 이름 짓는 규칙, 예약어 (0) | 2020.05.12 |
자바의 기본 출력 (0) | 2020.05.11 |
자바 Documentation, 주석 (0) | 2020.05.10 |